웹 표준과 접근성: 관점으로 푸는 정리
웹 표준과 접근성이 웹 업계의 뜨거운 키워드로 부상한지도 벌써 많은 시간이 흘렀습니다.
하지만 아직도 비표준, 접근성 미준수를 지향하는 업체들도 상당수 존재하는 만큼 국내 웹 표준과 접근성은 아직 갈 길이 멀어보입니다.
게다가, 업계의 종사하시는 분들 마저도 이 두 부분을 두고 많이 상반된 의견을 내놓고 있습니다.
실제 업계에 근무하시는 분들이 작성한 글을 여러건 검토, 직접 작성한 결과를 보여드리고자 합니다.
또한 개인적인 반박 의견을 함께 넣어보았습니다.
부정적 견해 |
긍정적 견해 |
1. 속도가 느려집니다. |
1. 속도가 빨라집니다. |
2. 유지보수가 힘들어집니다. |
2. 유지보수가 용이해집니다. |
3. 개발 비용과 시간이 증가합니다. |
3. 이견 없음. 그러나 정착이 되면 나아질 것. |
4.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합니다. |
4. 유지보수 비용이 감소합니다. |
5. 소수의 사람들만을 위한 것입니다. |
5. 다수의 사람들에게도 도움이 됩니다.(반박) |
6. 도움되는 정도는 크게 차이가 없습니다.(반박) |
6. 비즈니스에 도움이 됩니다. |
부정적 견해 반박 |
긍정적 견해 반박 |
1. 불필요한 요소를 최소화하고 각 구성요소들의 역할이 명확해지므로 속도가 향상됩니다.(성능 향상) |
1. 컨텐츠 량의 증가로 속도가 떨어집니다. |
2. 구현 과정에서 각 구성요소의 역할이 명확해지는 효과가 있어 유지보수가 수월해집니다. |
2. 웹 표준과 접근성을 이해하는 인력이 부족하여 유지보수에 필요한 인력을 교육시키는데만도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됩니다. |
3. 정착이 되면 이 문제도 해결 될 것입니다. |
3. 정착이 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릴 것입니다. |
4. 유지보수가 수월해지므로 그에 따른 비용도 감소합니다. |
4. 웹 표준과 접근성을 이해하는 인력이 부족하여 교육에 들어가는 비용이 큽니다. |
5. 성능 향상과 컨텐츠와 각종 요소들의 역할이 명확하게 되면서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모든 이용자가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게됩니다. |
5. 기존의 개발자들에겐 장애인차별금지법에 따라 수동적으로 지켜야할 사항으로 밖에 보이지 않습니다. |
6. 컨텐츠와 각종 구성요소들의 역할이 명확해지면서 SEO(검색엔진최적화)의 이점을 보이므로 비즈니스에도 도움이 됩니다. |
6. 비용과 시간의 증가는 비즈니스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. |
어려분들은 어느쪽이신가요?